카테고리 없음

뒤돌리기 볼시스템 3

이부장입니다 2022. 12. 22. 14:33

뒤돌리기를 아쉽게 실패합니다. 볼시스템을 이용해서 설계를 해 봤는데 어디서 잘못된 것인지 살펴봅니다.

뒤돌리기 볼시스템 기준은 절반 두께 (4/8) 중단 투팁

이 시스템의 기준 당점과 두께는 절반 두께 (6), 중단 투팁입니다. 모든 일엔 항상 그렇듯이 예외적인 부분이 있는데요 위 표에서 보시는 구간이 그렇습니다. 절반 두께 (4/8) 기준을 2/8 두께로 변경해야 되는 구간입니다. 그런데 위 그림이 너무 복잡하네요. 딱 보고 절반 두께, 투 팁이 여기에 떨어질까? 감으로 보시고 갸우뚱하시면 4/8 절반 두께에서 2/8 두께로 줄이시면 됩니다.

자, 갸우뚱해서 보니 2/8 두께 구간에 걸치게 됩니다. 볼 시스템으로 적용해 보면

6-3(1 적구수)+1.5=4.5 (45라인)

2/8 두께로 기준 당점인 중단 투 팁 당점이면 45라인으로 간다는 이야기입니다. 일단 어디 맞아야 득점이 가능한지 살펴봅니다.

제 생각으론 35 정도 맞으면 득점이 될 것 같아 보여서 설계했는데 그게 화근이었습니다. 시스템상 45 도착이니 한 칸 짧게 35 도착을 만들어 주기 위해 2/8 두께를 절반 두께로 변경하였습니다. 그러나 다이가 쓰리쿠션에서 회전을 못 받아 주는지 35 맞고 짧게 득점에서 실패합니다. 45는 행여나 길 수도 있고, 40으로 설계를 했으면 어땠을까 후회해 봅니다.

볼시스템에서 기울기가 중요한데요 이유는 기울기만큼 길고 짧아지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사실 이 배치에서는 기울기가 1.5가 안되고 약 1.2~3 정도로 보이는데 영상에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35로 안 가고 33 정도로 가는 걸 보면 소름이 돋는 부분입니다. 기울기를 측정할 때 신경을 많이 써야 하는 이유이지요. 다음은 키스 부분을 살펴봤는데요 어느 두께에서든 일단 1차 키스는 안 보이네요.

결론적으로 한 칸이 아닌 반 칸이 짧았으면 득점에 성공할 수 있었던 배치라 2/8 두께에 투 팁을 원 팁으로 변경을 했으면 어땠을까 생각이 드는군요. 2/8 두께가 부담스럽다면 3/8 두께에 2 팁으로 치는 방법도 생각해 볼만합니다.


위 배치는 설계를 안 하고 감으로 쳤는데 득점에 실패합니다. 사실 시스템을 적용해서 매번 설계한다는 건 정말 힘든 거 같습니다. 계속해서 감으로 대충 치지 말자고 다짐해도 머리가 거부를 하는 건지 대충 치게 되니 말이지요.

분석해 보니 일단 절반 두께에서 키스가 보입니다. 수직으로 내려와서 꽝하고 키스 나는 부분은 많이들 경험하셨을 겁니다. 다음은 3쿠션 지점을 설정하는 건데요 저는 이게 가장 찾기가 힘들더군요. 과연 어디에 맞아야 득점이 되는 건지. 그래서 로드리게스 시스템을 자주 이용하는 편입니다. 원쿠션 지점과 득점 포인트의 칸수를 재면 투쿠션이 보이는데 이 투구션 지점을 보고 쓰리 쿠션을 예상하는 겁니다. 위 배치에선 대략 원쿠션 맞을 지점과 득점 포인트를 이어보니 3칸 정도, 그에 절반인 투쿠션 지점을 1.5포인트로 보고 3쿠션지점을 대락 10으로 보는 것이지요. 제가 보는 득점 가능구간은 장축 5~10 포인트 구간입니다.

6-3-2=1 (절반 두께. 투 팁)

영상에서는 2/8 두께가 맞아 2 적구로 향하였는데요 결국 키스가 나서 득점에 방해를 주었군요. 설계는 절반 두께가 키스가 보이니 3/8 두께에 원팁으로 공략하면 득점이 되지 않았을까 예상해 봅니다. 회전을 더 줄여 3쿠션을 5 로보고 공략해도 좋을 것 같군요.